현재 페이지 경로
기능버튼모음
본문

보도/설명

제목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을 새롭게 그리는 ‘디지털 도화서’ 문을 열다.
등록일
2024-06-21
주관부서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무과
작성자
국가유산청
조회수
382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국가유산 콘텐츠 제작 공간 디지털 도화서 개방(6월 21일)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총장 강경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비대면 강의 콘텐츠를 제작하기 위해 조성된 ‘문화유산교육 콘텐츠제작 스튜디오’를 학생 공모전을 통해 ‘디지털 도화서’로 이름을 바꾸고, 공간을 재구성하여 디지털을 활용한 콘텐츠 제작·학습·공유 공간으로 새롭게 문을 연다.
* 디지털 도화서: 조선시대에 존재했던 도화서는 왕실의 그림 제작을 담당하는 관청이었다.
과거 도화서에서 다양한 작품을 만든 것처럼 디지털 도화서는 디지털을 활용하여 콘텐츠를
제작하고 역사적 배경을 바탕으로 전통과 현대의 융합을 상징하는 곳이다.

‘디지털 도화서’는 콘텐츠 기획 회의, 아이디어와 의견을 나눌 수 있는 네트워킹 공간 및 사진·영상·3D·실감형 콘텐츠 등 디지털 콘텐츠 제작 공간 등으로 재구성하였다. 지금까지는 주로 영상 촬영에만 사용하였던 공간을 다양한 용도로 활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특히, 이 공간은 한국전통문화대학교 학생은 물론 부여군 청소년에게도 개방하여 기존 교육과정에서 담지 못하는 디지털 관련 학습활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또한, 부여지역 내 기관과 협업하여 다양한 프로그램을 운영함으로써, 국가유산 콘텐츠를 경험하고 직접 제작하는 등 국가유산을 확산하는 역할도 수행하고자 한다.

공간은 총 4개의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 공존 공간은 아이디어 회의 및 네트워킹이 가능한 공간이며, ▲ 창작방앗간은 생성형AI, 게임엔진을 활용한 3D 콘텐츠, 증강현실(AR) 및 가상현실(VR) 등 디지털 콘텐츠를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이다. 두 개의 방으로 이루어진 ▲ 이메리얼룸은 사진 촬영 공간, 유튜브 촬영 공간과 1인 영상 강의 제작 시스템을 갖추어 혼자서도 영상 콘텐츠를 쉽게 제작할 수 있는 공간이다.
* 이메리얼룸: 상상(imagine)이 현실(real)이 될 수 있는 곳(room)

‘디지털 도화서’의 개방시간은 평일(월요일∼금요일, 공휴일 제외)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이며, 사용을 원하는 사람은 디지털 도화서 누리집(https://ditdo.modoo.at/)에서 사전 신청을 하면 된다.

국가유산청 한국전통문화대학교는 ‘디지털 도화서’를 통해 학생에게는 진로 탐색 및 창업 아이디어를 구현할 창작 공간을 제공하고, 지역민에게는 국가유산 콘텐츠를 체험 기회를 확대하여 지역사회와 소통하는 등 적극행정을 이어갈 것이다.



'디지털 도화서' 오픈행사 홍보물(포스터)

< '디지털 도화서' 오픈행사 홍보물(포스터) >


OPEN 공공누리 공공저작물 자유이용허락 (출처표시)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더 자세한 내용 설명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한국전통문화대학교 교무과 허영미 사무관(☎041-830-7170), 정강현 주무관(☎041-830-7189)에게 연락해 주시기 바랍니다.
첨부파일
만족도조사
유용한 정보가 되셨나요?
만족도조사선택 확인
메뉴담당자 : 대변인실
페이지상단 바로가기